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여러나라 만두의 종류에 대하여 -1

by 오지이이 2023. 7. 2.
728x90
반응형

우리가 알고 있는 만두는 보통 빠르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이라는 인상이 강하게 박혀있지만 유명중식셰프인 이연복의 말에 따르면 재료비나 단가에 비해서 반죽을 직접 빚어내고 속재료도 배합해서 만들어서 하나하나 빚어서 만드는 일련의 과정이 들어가기 때문에 정성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서 만들어내는 조리사 입장에서는 계륵 같은 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다고 한다. 이렇게 정성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는 만두는 과연 다른 나라에서도 이렇게 정성 가득한 음식일까? 우리나라 만두에 대해 알아봤으니 가볍게 다른 나라의 만두의 종류에 대해서도 기록해볼까 한다.

중국의 만두 

만터우

만터우는 한국식 독음으로 '만두'라고 읽는게 맞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만두와는 다르게 속재료가 없으며 두꺼운 밀가루 반죽을 길게 뽑아내서 마시멜로 모양으로 숭덩숭덩 썰어 놓거나 동그랗게 빚어놓은 것을 그대로 쪄놓은 형태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꽃빵이 만터우와 비슷한 형태에 속할 수 있지만 한국의 꽃빵이 중국의 만터우보다 훨씬 더 반죽이 얇은 편이다. 그래서 중국이나 대만 쪽에서 만두를 달라고 요청한다면 속이 텅텅 비고 반죽을 쪄낸 '만터우'를 달라는 줄 알고 오해를 한다고 한다. 중국이나 중화권에서 만두를 먹고 싶을 땐 바오쯔 혹은 자오쯔를 달라고 해야 한다. 만터우는 옛날부터 중국의 빈부격차와 가난의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한다. 소설 대지를 보면 주인공 왕룽이 농사일을 하면서 마늘을 끼워 넣어서 만든 만터우를 점심으로 먹는 장면이 있는데 이처럼 '만터우'는 가난한 사람이나 노동자들처럼 하층민들의 주 메뉴였기 때문이다. 

자오쯔

한국식 독음으로 자오쯔는 교자를 뜻하는데 중국의 동북지역에서 주로 먹는 만두다. 익숙한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우리가 생각하는 보통의 만두를 칭한다. 한국식 만두와 일본의 교자도 자오쯔에 속하는데 얇은 만두피에 속재료를 가득 넣어서 만드는 게 특징이다. 바오쯔나 만터우 같이 만두피를 두껍게 만드냐 와 아니냐의 차이로 나눌 수 있다. 자오쯔의 만두피는 부풀리지 않고 군만두를 제외하고 모두 매끄러운 식감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속재료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만두에서 다양한 맛과 풍미를 즐길 수 있다. 이렇다 보니 다른 만들보다 조리법이 다양해서 꼭 찌는 방식이 아닌 굽거나 튀기기도 하고 삶기도 한다. 중국에서 교자는 보통 수이 자오라고 부르는데 쉽게 보면 이건 물만두에 가깝다. 우리나라에서 먹는 물만두와는 조금 다른 부분은 만두피가 조금 두꺼운 게 특징이다. 중국에서 얇은 피를 가진 물만두를 훈둔이라고 하는데 이를 광둥어로 부르는 명칭이 바로 구름(雲)을 삼킨다(呑)처럼 부드러워서 완탕(雲呑)(WONTON)이라고 한다. 한국의 떡국, 일본의 오조니처럼 중국의 대표적인 새해 음식이다. 

시우마이/사오마이/슈마이

흔히 슈마이라고 불리는 자오쯔보다 얇은 계란 만두피를 재료들을 감싸 만드는 작은 사이즈의 만두를 얘기한다. 크기가 다른 만두들보다 훨씬 작은 편이고 소룡포를 제외하면 만두의 윗부분이 다 터 있는 게 특징이다. 돼지고기를 속재료로 쓰는 것보다 해산물을 넣은 것이 더 유명한 편이고 중국의 남방지역에서 주로 만들어 먹고 유명한 곳은 특이하게 홍콩이다. 딤섬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다 보니 중국 본토 외에도 차이나타운이 있는 요코하마시의 명물이기도 하다.

바오쯔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왕만두 모양이 바오쯔다 만터우만큼의 두꺼운 밀가루 반죽과 다양한 소가 들어간 만두. 한국에서도 포자만두라는 표현이 쓰인 적이 간혹 있지만 우리나라는 왕만두나 호빵이라는 표현을 더 많이 쓰곤 한다. 

춘권

우리가 잘 아는 춘권은 밀전병 등의 껍질에다가 채소와 고기, 해산물 등을 싸서 굽거나 튀겨먹는 음식이다. 전통적으로 보면 입춘에 즐겨 먹어서 음식명 자체에 '봄 춘'자가 들어간다. '봄 춘'자에 '말권'자를 써서 말 그대로 '봄에 먹는 말아먹는 음식'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춘권의 영어명칭이 ' spring roll'과 일본어명칭은 '하루마키'인 것이다. 과거에 입춘에는 봄야채를 먹으면서 봄이 온 것을 축하하던 풍습에서 발전해서 밀전병에 말아먹기 시작한 것이 춘권의 유래이다.

 

728x90
반응형